2011년 해외 화섬공업 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12-04-09 17:21 조회2,077회관련링크
본문
섬연신문 4. 2
2011년 중국의 섬유생산은 왕성한 내수를 배경으로 순조로운 확대를 지속함. 섬유제품의 수출입도 증가기조를 보임. 특히, 섬유원료는 원료가격의 상승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임.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국가 및 지역별로는 ASEAN(동남아시아제국연합)과의 무역이 급증을 보임. 단, 연 후반부터 원료가격의 급등락과 해외수요의 부진, 인건비의 상승 등으로 불투명감이 고조되고 있음.
대만과 한국의 화섬생산도 년 후반 유럽의 채무위기 등으로 성장률이 둔화를 보임. 중국의 화섬생산은 전년대비 13.9% 증가, 세계 생산 share도 동 2포인트 상승한 66%로 확대됨. 화섬의 품종별 생산량도 폴리우레탄 이외는 전반적으로 전년대비 상승을 보임. 주요 섬유제품 생산량을 살펴보면 방적사가 12.4% 증가, 단섬유직물이 11.6% 증가, 의류가 8.1% 증가를 보임.
섬유제품 수출은 20.5% 증가하여 2년 연속 증가를 보임. 국가 및 지역별로는 아시아지역으로의 수출이 21% 증가한 1,079억불, 그 중에서도 ASEAN 수출이 FTA 효과로 33.9% 증가한 200억불로 큰 폭의 성장을 보임. 섬유제품수입도 26.7%로 증가기조를 보임. 종류별로는 섬유원료는 가격상승 등으로 52.3%로 큰 폭의 성장을 보였으며, 그 밖에 의류 등 2차제품도 59.4%로 높은 증가율을 보임.
한편, 대만의 화섬생산은 12.3% 감소하여 3년만에 전년실적을 하회함. 한국의 화섬생산도 0.8% 증가에 그쳐 성장률이 둔화를 보임. 단, 섬유제품의 수출입은 호조로 한국의 섬유품 수출은 14.7% 증가, 대만의 섬유품 수출도 12.5% 증가하여 공히 2년 연속 전년실적을 상회함.
< 2011년 중국의 섬유제품 생산실적 >
| 
 품종별  | 
 단위  | 
 생산량  | 
| 
 화섬생산량 Rayon Nylon Polyester Acrylic Polypropylene Polyurethane 방적사  | 
 천톤  | 
 33,624(13.9) 2,478(9.5) 1,591(9.6) 27,949(15.2) 700(4.2) 333(12.1) 262(△2.0) 28,945(12.4)  | 
| 
 단섬유직물 화섬직물  | 
 億m  | 
 620(11.6) 150(14.8)  | 
| 
 의류  | 
 億点  | 
 254(8.1)  | 
| 
 섬유품 수출액 섬유원료 방직품 의류  | 
 百万불  | 
 251,976(20.5) 3,775(59.4) 94,420(22.8) 153,781(18.5)  | 
| 
 섬유품 수입액 섬유원료 방직품 의류  | 
 38,707(26.7) 15,793(52.3) 18,901(6.9) 4,013(59.4)  | 
주) 괄호는 전년대비 증감률
< 2011년 한국/대만의 화섬생산 실적 >
(단위: 천톤, 백만불)
| 
 화섬생산량  | 
 섬유품 수출액  | 
 섬유품 수입액  | |
| 
 한국  | 
 1475 (0.8)  | 
 15,961 (14.7)  | 
 13,226 (30.2)  | 
| 
 대만  | 
 1972 (△12.3)  | 
 12,716) (12.5)  | 
 3,569 (22.9)  | 
주) 괄호는 전년대비 증감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