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세계 섬유수요 및 생산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11-09-20 11:31 조회1,427회관련링크
본문
화섬정보 9. 20
□ 2010년 세계 섬유수요
○ 2010년 세계 섬유수요는 전년대비 11.8% 증가한 8,008만톤으로 2년
연속 증가하여 처음으로 8,000만톤대를 돌파함.
- 화섬 수요는 11.2% 증가한 5,382톤, 천연섬유는 11.0% 증가한 2,625
만톤으로 모두 큰 폭의 증가를 보여 리먼쇼크 이전인 2007년 7,621만톤
수준을 상회함.
○ 화섬의 수요내역을 살펴보면 Cellulose섬유가 14.0% 증가한 363만톤,
합섬(Olefin섬유 제외)이 13.0% 증가한 4,420만톤으로 공히 두 자리
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Olefin 섬유도 5.6%의 증가를 보임.
○ 천연섬유는 綿(Cotton)이 11.9% 증가한 2,446만톤으로 큰 폭의 회복을
보여 2년 연속 증가를 보였으나, 면화가격의 고공행진으로 2007년 수준
인 2,633만톤에는 미치지 못함.
- 양모는 3.0% 감소한 113만톤으로 4년 연속 감소를 보임. 絹은 8.5%
증가하여 3년 만에 전년수준을 상회함.
[img:4093_1.GIF,align=,width=519,height=356,vspace=0,hspace=0,border=0]
□ 지역별 합섬생산
○ 세계 합섬(Olefin 제외)생산량은 13.0% 증가한 4,420만톤으로 2년 연속
증가를 기록했으며, 국가 및 지역별로도 아시아, 西歐․터키, 미국 등 모든
국가 및 지역이 증가를 보임.
- 특히, 중국은 15.7% 증가한 2,891만톤으로 큰 폭의 증가를 보여 세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09년 61.2%에서 63.1%로 확대됨. 인도는
4.5% 증가한 312만톤, 비중은 7.1%로 ‘09년 7.6%에 비해 축소됨.
- 이로서 중국과 인도의 생산량을 합하면 세계 전체의 70% 이상으로
합섬생산은 여전히 양국에 집중되는 양상이 계속되고 있음.
[img:4093_2.GIF,align=,width=519,height=455,vspace=0,hspace=0,border=0]
- 한국은 13.3% 증가한 157만톤으로 3년만에 전년대비 증가를 기록했으
며, 대만은 7.7% 증가한 221만톤으로 2년 연속 전년실적을 상회함.
ASEAN도 역내 각국이 증가를 기록함. 그 중에서도 베트남이 27.8% 증가
한 23만톤으로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임.
- 또한, 기타 아시아국가에서는 방글라데시가 10.2만톤으로 전년대비 약
1.5倍 증가하여 ‘08년대비 약 5倍 증가하여 초고속 성장함. 중국 플러스
원의 봉제거점으로 존재감을 높이고 있는 베트남, 방글라데시 양국에서는
합섬의 생산확대가 지속되고 있음.
□ 품목별 합섬생산
○ 합섬생산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폴리에스터 F가 16.2% 증가한 2,356만톤
으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으며, 동 SF도 9.5% 증가한 1,373만톤으로 견조
한 성장세를 보임. 나일론은 장섬유가 13.2% 증가한 383만톤으로 두 자리
수의 증가를 보인 반면, 단섬유는 14.3% 감소한 19.2만톤에 그침.
○ 그 밖에 아크릴은 0.1% 감소한 198만톤으로 전년수준을 보였으며,
Olefin F는 22.3% 증가한 498만톤으로 3년만에 증가로 돌아섬. 동 SF
는 102만톤으로 4.3% 증가하여 100만톤대를 회복함.
[img:4093_3.GIF,align=,width=421,height=317,vspace=0,hspace=0,border=0]
- 폴리에스터 F는 중국이 18.9% 증가한 것을 비롯하여 西歐가 22.8%
증가, 터키가 37.1% 증가, 미국이 30.0% 증가하는 등 歐美地域에서도
두 자리 수의 증가를 보임.
- 폴리에스터 SF는 중국이 11.5% 증가한 843만톤, 인도가 3.9% 증가한
97.5만톤을 보임. 나일론 F는 중국이 14.7% 증가한 157만톤, 미국이
12.5% 증가한 57.5만톤으로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임.
- 한편, 나일론 SF는 미국이 Carpet用의 부진으로 46.6%로 큰 폭의 감소
를 보임. 아크릴은 최대 생산국인 중국이 5.0% 감소한 65.7만톤, 인도가
19.2% 감소한 7.4만톤으로 감소를 보였으나, 西歐와 日本은 5.0%,
14.5% 각각 증가를 보임.
□ Cellulose 섬유생산
○ Cellulose 섬유의 생산은 전년대비 14.0% 증가한 362.5만톤으로 2년 연
속 증가하여 리먼쇼크 이전인 2007년 실적 312.1만톤을 상회함. 국가 및
지역별로는 중국이 16.1% 증가, 西歐가 23.7% 증가, 인도네시아가
12.8% 증가하여 두 자리 수의 증가를 보인 반면, 대만은 10.0% 감소한
9.7만톤으로 10만톤대를 하회함.
○ 품목별로는 衣料․家庭用으로 사용되는 일반 Rayon F(Cupra 포함)가 최
대 생산국인 중국이 3.4%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1.4% 감소한 27.6만톤
에 그쳤으며, 타이어코드 등으로 사용되는 강력 Rayon F는 西歐가
86.6% 증가한 3.8만톤으로 ‘07년 수준인 3.8만톤을 회복하여 전체적으
로는 전년대비 1.5倍인 5.6만톤을 보임.
- Rayon SF는 중국이 190만톤으로 18.6% 증가, 인도가 29.9만톤으로
8.4%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15.2% 증가한 325만톤을 보임.
[img:4093_4.GIF,align=,width=362,height=590,vspace=0,hspace=0,border=0]
□ Olefin 섬유생산
○ Olefin 섬유의 생산은 전년대비 5.6% 증가한 600만톤을 기록함. 중동․
아프리카․오세아니아는 미미한 감소를 보인 반면, 기타 국가 및 지역은
모두 증가세를 보임. 품목별로는 장섬유가 8.0% 증가, 단섬유가 4.3%
증가, Slit Film Fiber가 3.5% 증가를 기록함.
[img:4093_5.GIF,align=,width=343,height=455,vspace=0,hspace=0,border=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