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화섬정보 > 화섬정보

화섬정보

MEG시장, 향후 전망 불확실성 확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11-06-20 14:19 조회1,694회

본문


ICIS Chemical Business

세계 MEG 시장은 점차 불확실한 시기에 접어들고 있음. 금년초 공급과잉이 예견되었으나, 현재 정기보수에 따른 타이트한 공급으로 향후 수요에 대응하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있음.

지난 3월 아시아 MEG 가격이 공급증가로 상승세를 마감하고 하락세로의 반전이 예상된 바 있으며, 이후 시장이 하락세로 이어져 상당수 업체가 정기보수를 발표함.

사우디의 석화기업인 SABIC은 금년중 8개의 MEG설비에 대해 가동중단을 밝힘. 그 중 6개는 상반기중, 나머지 2개는 4/4분기중 각각 중단할 예정임. 이는 하절기중 온도상승을 피하기 위해서임. 동사는 현재 세계 최대의 MEG 업체로서 총규모는 5.71백만톤에 달함.

그 밖에 4월말 Rabigh Refining and Petrochemical은 사우디 Rabigh 지역에 위치한 연산 700천톤의 MEG 설비에 대해 2개월간의 가동중단을 실시함. YanPET도 5월초 연산 350천톤의 설비를 35일간 가동중단에 들어감.

LG 화학(125천톤)은 3월말, Samsung Total(120천톤), 5월초 각각 정기보수를 실시하였으며, 쿠웨이트의 EQUATE도 Fhuaiba 지역의 MEG설비(연산 550천톤)를 5월말 정기보수에 돌입하였음.

- 설비의 가동중단

동 설비의 가동중단은 재가동시기가 결정되어 있는 반면, 기타 대형업체 2곳의 설비는 재가동이 불확실한 상황임. 3월 Shell은 싱가포르내 Pualu Bukom의 크래커설비(연산 750천톤)의 가동중단으로 MEG의 공급불능을 선언하였음.

대만 Formosa Plastics Corp의 자회사인 Nan Ya Plastics도 Mailiao에 위치한 MEG 설비 4개 라인중 2개 라인의 가동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힘. 동 설비는 720천톤 규모이며, 총 4개 라인은 1.9백만톤 규모임. 이는 아시아 설비의 10%에 해당하며, Nan Ya는 월 10천톤 가량의 물량을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음.

- 가격의 하락세

MEG 가격은 ‘10년 7월이후 상승세를 거듭하였으나 3월초 스팟가격이 톤당 1230~1240불(cfr 중국)로 전주대비 25~28불 하락하기 시작함. 동 영향은 계속적으로 이어져 5월초 MEGlobal은 6월 아시아 계약가격을 1250불로 전월대비 인하함. 관계자는 “당분간 소폭의 등락을 보일 전망”이라고 밝힘.

그러나 향후 MEG 가격하락세가 그칠 것으로 보이고 있음. 이는 향후 동 지역의 가동중단 등을 통해 하반기중 구매의사가 지속될 것이란 긍정적 전망에 기인함. 에틸렌 코스트가 MEG가격을 뒷받침하고 있으나 다운스트림 수요가 예상대비 적어 향후 가격의 하락압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

한편, 5월초 아시아 MEG 스팟가격은 톤당 1095~1105불로 3월의 1230~1240불에서 하락한 바 있음. 이후 SABIC과 Shell이 스팟가격과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6월 아시아 계약가격을 50불 인하한 1250불로 제시함. 이는 MEGlobal의 제시이후 이어진 것임.

5월말 대만정부는 Nan Ya의 MEG공장에 대해 가동중단을 명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시아의 MEG 공급차질로 이어지면서 향후 톤당 15~30불 상승이 발생함. 동 스팟가격은 톤당 1140~1160불(cfr 중국)로 5월 중순의 톤당 1115~1120불대비 상승한 것임.

6월초에는 스팟가격이 톤당 70~80불 상승하였으며, 향후 단기적으로는 등락을 반복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대다수 거래업체는 “Polyester 원료인 PTA는 7~8월중 대대적인 증설에 따라 하락이 예상되고 있으며, 자금압박, 현금유동성 악화 등으로 가격하락이 지속될 수 있다“고 언급함. “그러나 MEG 가격은 현 시점에서 전망하기가 쉽지 않다”고 덧붙임.

그러나 MEG는 거래업체에게는 PTA, DEG 등 기타 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투자처가 될 수 있으며, 이는 MEG의 시장기반이 더욱 유리하며 하반기중 대대적인 정기보수가 예정되고 있기 때문임.

일부에서는 중국의 금융정책이 3/4분기에는 완화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물가상승이 다소 완화되면서 MEG 거래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아시아의 다운스트림 업계를 보면, 중국의 Polyester 업체의 생산대비 판매비중이 100~120%에 달해 Polyester 다운스트림 업계의 수요가 안정적임을 보여주고 있음.

현재 판매업체의 제시가격은 톤당 1200불(cfr 중국)로 40~70불 인하되었으나, 구매업체는 Nan Ya의 가동중단 여부 등을 이유로 구매에 응하지 않고 있음.

- 설비증설 및 신규 공급원

6월초 Nan Ya의 가동중단에 대한 연기발표 이전에 SABIC은 대중국 MEG 할당량을 확대하여 월 200천톤 가량 공급할 계획이었음. Shell도 Qatar Petroleum과 제휴하여 ‘16~’17년중 생산을 계획하고 있음. 동 프로젝트는 1백만톤의 크래커 및 750천톤 규모의 MEG 2개 라인임.

그 밖에 동사는 향후 3년내에 싱가포르의 크래커설비를 15~20% 확대할 계획도 있어 Jurong의 MEG 설비(연산 750천톤)에 대해 증설을 시도할 것으로 보임. 그러나 원료인 에탄의 공급부족으로 증설시기가 미루어질 가능성도 있음.

MEGlobal은 세계 MEG 수요는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7%대의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함. ‘11년 수요증가는 17%에 달해 ’10년 성장률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인도는 ‘11년에도 두 자릿수의 수요증가가 예상되며, 중국은 ’10년 MEG 소비가 9백만톤을 초과하면서 세계소비의 43%를 점하였음.

MEGlobal의 관계자는 “구조적으로는 동 시장의 변화가능성은 적으며, 향후 3~5년간 MEG 및 DEG의 공급인 타이트할 수 밖에 없다”고 언급함. 또한, “동 기간중 신규증설이 없을 것으로 보이는 데다 신규 수요분에 대응하기 위해 1.5백만톤의 물량이 추가로 요구될 것”이라고 덧붙임.

동 요구물량은 세계 수준의 MEG 설비 2개 규모에 해당하는 것임. 지난 2월 춘절휴무이후 동 지역의 단기 수요는 예상외로 저조하였음. 그러나 미국과 유럽의 PET 성수기가 나타나면서 아시아의 MEG수요증가도 전망되고 있음.

MEGlobal은 캐나다에 3개 공장을 통해 1.2백만톤을 생산하는 등 전세계적으로 3백만톤의 물량을 유통하고 있음. 동 캐나다 설비는 debottleneck을, 기타설비는 설비의 증설도 고려되고 있음.

동사는 MEG원료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으나, methanol-to-olefin이나 coal-to-olefin과 같은 신규공정 및 bio系 MEG와 같은 친환경제품이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단, 실제 상업생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임.

일례로 중국의 Hebi Baoma Group은 25억元(386백만불)을 투자하여 하남성 Hebi 지역에 연산 250천톤 규모의 석탄기반의 MEG 설비를 건설하고 있으며, ‘13년 하반기경 50천톤 규모의 상업생산을 예정하고 있음. 추가물량은 상업생산이 성공한 후 6개월 정도에 가동될 것으로 보임.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ENGLISH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30 적선현대빌딩 9층 (03170) Tel. 02-734-1191~4 Fax. 02-738-0111
Copyrightⓒ KOREA CHEMICAL FIBERS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