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중국 섬유전문시장 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11-05-25 11:28 조회1,361회관련링크
본문
화섬정보 5. 20
2010년 중국의 어패럴전문시장(1万㎡ 이상)은 699개소로 총영업면적 9,172.51万㎡로 전년대비 22.55% 증가함. 점포총수는 108.41万 점포로 전년대비 7.02% 증가함. 시장거래총액은 1.56兆元으로 전년대비 10.86% 증가함.
동부지구, 특히 華南, 璜地區는 중국의 중요한 산지형 섬유어패럴 시장이 밀집된 地區임. 市場數를 보면 東部地區의 市場數는 380개소로 전국의 54.36%를 점유함. 中部 및 西部는 각각 119개소, 139개소로 17.02%, 19.89%를 점유함. 東北地區는 沈陽, 長春, 하얼빈을 중심으로 61개소, 8.73%를 점유하고 있음.
경영면에서 보면 東部地區의 경영면적은 6.114.01万㎡로 총면적의 66.66%를 점유함. 2009년 대비 5.93포인트 상승하여 東部地區의 집중도가 높아짐. 中部 및 西部地區의 경영면적은 1,112.84万㎡와 1,495.14万㎡로 비율은 12.13%, 16.3%임.
점포수를 보면 中部地區의 상업점포는 15.2万 점포로 14.02%를 점함. 西部地區의 점포수는 16.92万 점포로 15.6%를 점함. 그러나 거래액에서는 中部地區의 거래액이 西部地區를 상회함. 中部地區의 2010년 거래액은 2,176.16億元으로 13.98%를 점함. 西部地區의 시장거래액은 1,223.1億元으로 7.86%임. 최근 河南, 安徽, 江西 등 中部地區는 東部로부터의 산업이전이 성행하면서 섬유산업이 발전하여 상업 ․ 무역 ․ 유통 등 산업인프라도 발달되어 시장거래액이 증가를 보이고 있음.
경영면에서 보면 어패럴시장과 통합류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어 경영면적은 각각 전년대비 각각 22.37%, 42.35% 증가를 보임. 어패럴시장은 말단인 최종소비자와 마주하고, 통합류시장은 주로 대형시설이기 때문에 투자가로부터 환영을 받고 있음. 한편, 원료, 생지, 보조원료류와 가정용섬유제품시장은 특히 중서부지역에서 부족하여 현지 산업Chain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2010년 중국의 섬유어패럴전문시장에 있어서 어패럴제품의 거래액은 최대 8,312.81億元으로 전년대비 8.36% 증가함. 어패럴제품류의 거래액이 전년에 비해 낮은 성장률을 보인 이유로는 2010년 면화가격의 상승으로 원료, 생지의 거래액이 증가한 점과 중국의 섬유산업 Chain내 유통이 어느 정도 정체를 보인 점 등을 요인으로 들 수 있음.
또한 최근 중국의 어패럴전문시장은 서서히 2, 3級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음. 이들 시장은 아직 육성단계로 거래량이 증가하기 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짐. 중국의 원료, 생지류, 가정용섬유제품시장의 거래액은 꾸준히 증가를 보이고 있음. 원료, 생지시장은 97개소, 경영면적은 1,683.16万㎡로 전년대비 4.13% 증가, 거래액은 3,692.28億元으로 전년대비 13.57% 증가를 보임. 가정용섬유제품시장은 25개소, 경영면적은 309.02万㎡로 전년대비 6.37% 증가, 거래액은 887.4億元으로 전년대비 19.75% 증가를 보임.
2010년 중국의 어패럴전문시장(1万㎡ 이상)은 699개소로 총영업면적 9,172.51万㎡로 전년대비 22.55% 증가함. 점포총수는 108.41万 점포로 전년대비 7.02% 증가함. 시장거래총액은 1.56兆元으로 전년대비 10.86% 증가함.
동부지구, 특히 華南, 璜地區는 중국의 중요한 산지형 섬유어패럴 시장이 밀집된 地區임. 市場數를 보면 東部地區의 市場數는 380개소로 전국의 54.36%를 점유함. 中部 및 西部는 각각 119개소, 139개소로 17.02%, 19.89%를 점유함. 東北地區는 沈陽, 長春, 하얼빈을 중심으로 61개소, 8.73%를 점유하고 있음.
경영면에서 보면 東部地區의 경영면적은 6.114.01万㎡로 총면적의 66.66%를 점유함. 2009년 대비 5.93포인트 상승하여 東部地區의 집중도가 높아짐. 中部 및 西部地區의 경영면적은 1,112.84万㎡와 1,495.14万㎡로 비율은 12.13%, 16.3%임.
점포수를 보면 中部地區의 상업점포는 15.2万 점포로 14.02%를 점함. 西部地區의 점포수는 16.92万 점포로 15.6%를 점함. 그러나 거래액에서는 中部地區의 거래액이 西部地區를 상회함. 中部地區의 2010년 거래액은 2,176.16億元으로 13.98%를 점함. 西部地區의 시장거래액은 1,223.1億元으로 7.86%임. 최근 河南, 安徽, 江西 등 中部地區는 東部로부터의 산업이전이 성행하면서 섬유산업이 발전하여 상업 ․ 무역 ․ 유통 등 산업인프라도 발달되어 시장거래액이 증가를 보이고 있음.
경영면에서 보면 어패럴시장과 통합류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어 경영면적은 각각 전년대비 각각 22.37%, 42.35% 증가를 보임. 어패럴시장은 말단인 최종소비자와 마주하고, 통합류시장은 주로 대형시설이기 때문에 투자가로부터 환영을 받고 있음. 한편, 원료, 생지, 보조원료류와 가정용섬유제품시장은 특히 중서부지역에서 부족하여 현지 산업Chain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2010년 중국의 섬유어패럴전문시장에 있어서 어패럴제품의 거래액은 최대 8,312.81億元으로 전년대비 8.36% 증가함. 어패럴제품류의 거래액이 전년에 비해 낮은 성장률을 보인 이유로는 2010년 면화가격의 상승으로 원료, 생지의 거래액이 증가한 점과 중국의 섬유산업 Chain내 유통이 어느 정도 정체를 보인 점 등을 요인으로 들 수 있음.
또한 최근 중국의 어패럴전문시장은 서서히 2, 3級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음. 이들 시장은 아직 육성단계로 거래량이 증가하기 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짐. 중국의 원료, 생지류, 가정용섬유제품시장의 거래액은 꾸준히 증가를 보이고 있음. 원료, 생지시장은 97개소, 경영면적은 1,683.16万㎡로 전년대비 4.13% 증가, 거래액은 3,692.28億元으로 전년대비 13.57% 증가를 보임. 가정용섬유제품시장은 25개소, 경영면적은 309.02万㎡로 전년대비 6.37% 증가, 거래액은 887.4億元으로 전년대비 19.75% 증가를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