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화섬정보 > 화섬정보

화섬정보

원면가격, 합섬원료의 하락세로 연결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11-05-09 15:14 조회1,432회

본문


yarnsandfiber

지난해 원면가격의 상승은 합섬관련 시장의 강세에 큰 역할을 한 바 있음. 또한, 원유가격 상승, PX/PTA의 공급부족도 영향을 미침. 또한, 중국은 수년간 투자감소세에서 벗어나 대규모 Polyester 설비증설을 실시함. 그러나 최근들어 원면시장이 공급문제로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음.

수요업체는 금년초 부족물량의 확보에 나섰으며, 일정수준의 재고를 확보한 것으로 보임. ICAC의 관계자는 “가격상승은 수요감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함. 일례로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원면수출은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수입국은 중국은 3월 대량 구매이후 4월 들어 100천bale이상의 오더를 취소한 것으로 알려짐.

관계자는 “방적업체의 구매의사가 적은 것으로 보이며 이는 오더감소에 따른 재고증가에 따른 것”이라고 언급함. ICAC도 최근 수요급감에 대한 위험성을 지적하였음. 원면가격의 상승, 자금의 확보여부외에 원면가격대비 綿絲가격이 상승이 늦고, 3월 중순경 수확을 개시한 점 등도 중간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10/11년도 세계 원면소비량은 25.1백만톤으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보일 전망임. 그러나 방적업계의 부진, 화섬으로의 소재전환 등으로 향후 원면수요의 감소, 섬유수요중 비중감소의 가능성이 높음.

‘11/12년도 세계 원면생산은 중간소비를 뛰어넘을 것으로 보여 기말재고가 10.1백만톤으로 회복될 전망임. 기말재고대비 소비는 ’10/11년 33%로 낮은 수준을 보이겠으나 ’11/12년에는 39%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09/10년도 이전 10년간의 평균인 49%대비 낮게 유지될 전망임.

현재 원면가격은 3월중 피크를 보인 시점과 비교하여 약 24% 하락하였음. 최근까지의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경작감소 및 장기적인 하락세 우려가 상존함. 또한, 재고문제의 해결을 통한 가격하락의 진정여부도 이슈화되고 있음.

합섬분야의 가격등락은 중국의 금융경색 및 기타 물가상승 억제조치로 인해 영향을 받고 있음. 일례로 PX 가격은 지난주에도 하락세를 지속함. 5월 하순 인도물량은 톤당 35불 하락한 1565~1575불(fob 한국)이며, PTA는 3월대비 톤당 200불 하락한 1320~1330불(cfr 중국)을 보임.

MEG 가격은 최근 톤당 25~30불 상승했으나 여전히 등락을 지속중임. 이는 원유가격의 상승과 수요업체의 구매의사 증가에 기인함.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수 주간 하락세를 지속하여 회복 분위기가 적고, 중국의 구매업체도 자금경색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구매를 꺼리고 있음.

단, 중국의 경작면적 감소가 현실화되지 않고 경작조건도 회복된다면 원면가격은 회복이 가능할 전망임. 또한, 원면공급의 문제도 위기수준을 벗어난 것으로 풀이됨. 원면 등 정번품 시장은 2차 양적완화프로그램(QE2)의 연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금리의 바닥세가 상당기간 이를 뒷받침할 가능성도 있음.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ENGLISH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30 적선현대빌딩 9층 (03170) Tel. 02-734-1191~4 Fax. 02-738-0111
Copyrightⓒ KOREA CHEMICAL FIBERS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