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폴리에스터 가격, 장기적인 상승세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11-04-07 13:33 조회1,624회관련링크
본문
ICIS Chemical Business
폴리에스터 원료가격이 세계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의 지진사태와 같은 기타 요인들도 미국을 비롯한 세계 폴리에스터 시장에 압박을 가하고 있음.
주요 원료인 PX, PTA, MEG 가격이 최근 급상승하면서 상당수의 폴리에스터 업체가 코스트 상승을 이유로 제품가격을 인상하고 있음.
미국의 DAK Americas는 PSF 가격을 3월초 파운드당 8센트 인상에 이어 4월초에도 7센트 인상을 발표함. 동사는 폴리에스터 원료업계의 가동률이 높은 상태에서 세계적으로 공급이 타이트한 상황이라고 설명함.
그밖에 Reichhold도 3월 중순경 미국내 컴포지트用 불포화 폴리에스터 및 vinil resin/가격을 파운드당 6센트 인상하였음. 관계자는 “원료공급의 부족, 타이트한 글로벌 수급, 정경불안, 원유/천연가스간의 가격차 확대 등은 주요 원료가격상승을 부추기고 있다”고 언급함.
미국의 Moentive Speicalty Chemicals도 불포화 폴리에스터 resin의 가격을 파운드당 6센트 인상하였음. Celanese와 Ticona engineering Polymers도 북미의 resin 가격을 파운드당 20세트까지 확대함.
- 세계적 공통현상
ICI Pakistan의 관계자는 “원유가격 상승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오르는 것이 공통현상이나 수요와 공급간의 차이가 더욱 벌어지고 있어 이러한 상승세를 부추기고 있다”고 언급함. 미국의 Polyester 시장은 ‘12년까지 상승세를 보일 것이란 예측도 발표되고 있음.
세계적으로 폴리에스터의 원료코스트가 상승하고 있으나 아시아의 상승폭이 북미대비 더욱 높은 것으로 보임. 따라서 아시아 지역은 원료가격에 의한 장점이 없는 상황임. ‘10년은 폴리에스터 F 시장에는 큰 전환점이 되었으며, 특히 동 섬유의 수요가 전년대비 21% 증가하였음.
의류, 가정용, 산업용, 카펫 등 주요 소비분야에서는 ‘10년 실적이 호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남. 이는 전반적인 경기가 회복세를 보였고 CAFTA 지역의 성장과 미국/아시아간 원료코스트 차이, 하락세이후 재고급감 등에 기인함.
원면의 공급부족으로 의류用 폴리에스터의 소비가 증가했으며, 작황부진도 공급에 큰 영향을 미침. 특히, 원면가격의 급상승으로 대체재인 PSF의 소비가 증가한 바 있음. “원면가격의 상승은 세계적으로 원면사용을 감소시켰으며, PSF의 사용전환 계기가 되었다“고 관계자는 언급함.
관계자는 “PSF는 원면을 低코스트로 대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Polyester 원료 및 제품수요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었다”며, “경작률이 안정화되었으며, 경작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할 것”이라고 밝힘.
그러나 아직까지 식자재用 경작지와의 경쟁이 지속되고 있음. 식자재의 가격도 상승하고 있어 대다수 작농인은 식자재의 경작에 나서면서 결과적으로는 폴리에스터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
- 원면가격
원면가격은 현재까지 평균수준을 크게 초과하는 높은 수준이나, 금년이후 하락세가 예상되고 있음. 세계적으로 의류用 섬유는 ‘10~15년중 연평균 3% 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폴리에스터도 동기간 4%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음. ’10년 세계 섬유판매량은 71백만톤이었으며, 그 중 폴리에스터의 비중은 47%에 달함. 이는 ‘15년까지 50%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임.
미국은 당분간 상대적은 우위를 노릴 수 있음. 이는 7월이후 폴리에스터 섬유 및 PET 포장용 resin 수요가 비수기를 맞아 PX/MEG 가격하락이 시작될 수 있기 때문임.
원료코스트는 다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PX 및 PTA의 가동률은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보임. 또한, ‘13년경에는 수요가 신규 설비에 근접함으로서 가격상승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 일본 및 PX
일본의 지진사태로 동 국가의 PX 생산에 큰 타격을 받았음. 일본의 JX Nippon Oil & Energy는 세계 최대의 PX 수출업체이나 3월중순경 일부 설비의 공급불능을 선언할 수 밖에 없었음.
"일본의 PX 생산중 상당부분이 지진에 의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다“며, ”아시아 PX 스팟가격은 급상승하였으며, 향후에도 일본의 PX 생산은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언급함.
아시아 PX 가격은 공급부족에 의해 최근 톤당 1770불(cfr 중국/대만)까지 상승하였음. 4월 운송분은 10-15불 상승한 1780불(cfr 대만/중국)을 보였으며, 향후 추가상승이 예상된 바 있음.
- 원료
그러나 북미의 가격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음. 3월 PTA 계약가격은 전월대비 파운드당 2.1센트 상승하였으며, 이에 따라 70.68-70.78센트(톤당 1558-1560불, del)를 보이고 있음.
일부 업체는 3월 가격을 70.73센트로 확정하였으며, 이는 PX 상승분을 반영한 것임. PX 3월 가격은 84.75센트~85.5센트(del)를 보여 전월대비 2.75~3.3센트 상승함.
ICIS에 따르면, 유럽은 2월 PTA 계약가격이 전월대비 톤당 74유로(104유로) 상승함. 이에 따라 평균 참고가격도 1008-1029유로(fd 북서유럽)를 보이면서 전월대비 27센트 상승하여 PX 상승분(40유로)을 반영함. 3월 가격은 판매업체가 타이트한 공급을 이유로 1000유로 중반으로 인상했다는 소식도 있으나 체결소식은 없음.
- 중국의 설비증설
중국은 수요증가에 대비하여 폴리에스터 설비증강에 나서고 있음. 주요업체중 하나인 Tongkun은 기업공개에 의한 총 30.4억元의 자금모집을 통해 절강성내 신규 PTA 설비(연산 800천톤) 건설에 나서고 있음. 동사는 현재 PF 연산 1.4백만톤 규모의 설비를 보유하고 있음.
그밖에 Zhejiang Guxiandao도 연산 100천톤 규모의 Polyester 산업용絲 설비를 600천톤 규모로 확대하는 작업을 진행중임. 동사는 紹興지역에 각각 250천톤 규모의 2개 라인을 건설하고, 제1라인을 4월 중순, 제2라인을 6월에 각각 가동할 계획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