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화가격 고공행진으로 재배면적 확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11-03-18 16:47 조회1,462회관련링크
본문
화섬정보 3. 17
국제면화자문위원회(ICAC)에 따르면 2011/‘12년도 세계 면화재배면적은 전년대비 7% 증가한 3,600万헥타로 전망됨. 이와 같은 재배면적의 확대는 면화가격(2010/‘11년도)이 사상 최고치를 갱신한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됨. 이로서 세계 면화생산량은 동 9% 증가한 2,700만톤으로 전망됨.
2011/‘12년도는 확대가 예상되는 면화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면화가격은 현재 기록적인 가격대에서 하락할 것으로는 예상되나, 파운드당 60센트라는 과거 10년의 평균가격과는 크게 격차를 보이면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음.
2011/‘12년도 Mill 소비량은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면화가격과 화학섬유와의 경합으로 제한적이어 3% 증가한 2,540만톤으로 예상되며, Mill 소비의 최대 증가가 전망되는 국가는 인도, 중국, 파키스탄, 터키 등을 들 수 있음.
세계 면화가격은 2011년 2월 사상최고가를 갱신함. 세계적으로 재고의 소진과 한정된 공급량, 견조한 수요, 그리고 달러가치의 하락이 가격상승을 부추기는 양상을 보임. 2011년 들어 불안정한 공급은 가격상승을 압박하여 향후 가격을 더욱 불안정한 상황으로 몰 가능성이 있음.
2011년 2월 18일부의 Cotlook A Index는 파운드당 233.5센트로 최고가를 갱신하면서 2010/‘11년도 期初부터 7개월간의 평균가격을 147센트로 높임(전년동기 77.5센트). 2011년 3월 출하분의 뉴욕 정기거래시장 가격은 2011년 2월 28일 205센트를 기록함(2010년 8월 2일은 77센트).
면화를 둘러싼 환경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ICAC가격 모델로는 예측이 어렵다는 것이 현 상황임. 2010/‘11년도의 Cotlook A Index는 평균 161센트로 전망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망은 ICAC 가격 모델에 의한 시산이 아니고, 2011/’11년도 최초 7개월의 평균가격 및 하반기도 2011년 초두의 가격을 유지할 것이라는 예측을 전제로 산출된 것임.
국제면화자문위원회(ICAC)에 따르면 2011/‘12년도 세계 면화재배면적은 전년대비 7% 증가한 3,600万헥타로 전망됨. 이와 같은 재배면적의 확대는 면화가격(2010/‘11년도)이 사상 최고치를 갱신한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됨. 이로서 세계 면화생산량은 동 9% 증가한 2,700만톤으로 전망됨.
2011/‘12년도는 확대가 예상되는 면화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면화가격은 현재 기록적인 가격대에서 하락할 것으로는 예상되나, 파운드당 60센트라는 과거 10년의 평균가격과는 크게 격차를 보이면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음.
2011/‘12년도 Mill 소비량은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면화가격과 화학섬유와의 경합으로 제한적이어 3% 증가한 2,540만톤으로 예상되며, Mill 소비의 최대 증가가 전망되는 국가는 인도, 중국, 파키스탄, 터키 등을 들 수 있음.
세계 면화가격은 2011년 2월 사상최고가를 갱신함. 세계적으로 재고의 소진과 한정된 공급량, 견조한 수요, 그리고 달러가치의 하락이 가격상승을 부추기는 양상을 보임. 2011년 들어 불안정한 공급은 가격상승을 압박하여 향후 가격을 더욱 불안정한 상황으로 몰 가능성이 있음.
2011년 2월 18일부의 Cotlook A Index는 파운드당 233.5센트로 최고가를 갱신하면서 2010/‘11년도 期初부터 7개월간의 평균가격을 147센트로 높임(전년동기 77.5센트). 2011년 3월 출하분의 뉴욕 정기거래시장 가격은 2011년 2월 28일 205센트를 기록함(2010년 8월 2일은 77센트).
면화를 둘러싼 환경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ICAC가격 모델로는 예측이 어렵다는 것이 현 상황임. 2010/‘11년도의 Cotlook A Index는 평균 161센트로 전망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망은 ICAC 가격 모델에 의한 시산이 아니고, 2011/’11년도 최초 7개월의 평균가격 및 하반기도 2011년 초두의 가격을 유지할 것이라는 예측을 전제로 산출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