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화가격 사상 최고가 갱신 지속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11-02-23 13:30 조회1,689회관련링크
본문
화섬정보 2. 20
국제면화자문위원회(ICAC)에 따르면 세계의 면화가격은 2011년 1월 상승을 지속하고 있음. 이미 사상최고가격을 갱신하여 파운드당 2불대에 근접함. 2010년 12월 31일부터 2011년 1월 28일 사이에 Cotlook A Index(면화가격 지표)는 25.5센트 상승하여(15% 상승) 197.5센트에 달하고 있음. 2010/11년 상반기에는 평균가격이 140센트에 달하여 전년동기 평균가격 77.5센트 대비 80% 상승함.
2011년 3월 출하의 뉴욕선물가격은 2010년 8월 2일 77센트에서 상승하여 2011년 1월 27일에는 169센트로 과거 최고가격을 기록함. 단, 2011년 10월 출하의 선물거래가격(2011/12년 수확분)은 127센트로 2011/12년도에는 가격이 하향안정세를 보일 가능성도 예상됨.
2010/11년도 가격급등의 배경으로는 세계적인 재고감축, 한정된 공급량, 견조한 수요, 그리고 달러가치 하락 등을 들 수 있음. 2010/11년도 세계의 면화생산량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2,500만톤으로 추정되어, Mill 소비량과 거의 균형을 이룰 것으로 전망됨. 세계의 Mill 소비량은 세계경기의 개선에 힘입어 2009/10년 회복기조로 돌아섬.
그러나 고수준의 면화가격과 재고부족으로 Mill 소비의 상승이 억제되어, 2010/11년도는 전년도부터 거의 답보상태인 2,500만톤 수준으로 전망됨. Mill 소비가 8% 상승하여 460만톤으로 예상되고 있는 인도를 제외하면 주요 수요국의 Mill 소비량은 zero 성장이 예상되고 있음.
면화를 둘러싼 환경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음. ICAC 가격 모델로는 예측이 쉽지 않지만 이 전망에서는 ICAC가격 모델에 의한 試算이 아닌 2010/11년도 상반기의 평균가격과 하반기, 그리고 최근 2011년 1월 평균가격의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산출된 것임.
[img:3431.gif,align=,width=367,height=235,vspace=0,hspace=0,border=0]
국제면화자문위원회(ICAC)에 따르면 세계의 면화가격은 2011년 1월 상승을 지속하고 있음. 이미 사상최고가격을 갱신하여 파운드당 2불대에 근접함. 2010년 12월 31일부터 2011년 1월 28일 사이에 Cotlook A Index(면화가격 지표)는 25.5센트 상승하여(15% 상승) 197.5센트에 달하고 있음. 2010/11년 상반기에는 평균가격이 140센트에 달하여 전년동기 평균가격 77.5센트 대비 80% 상승함.
2011년 3월 출하의 뉴욕선물가격은 2010년 8월 2일 77센트에서 상승하여 2011년 1월 27일에는 169센트로 과거 최고가격을 기록함. 단, 2011년 10월 출하의 선물거래가격(2011/12년 수확분)은 127센트로 2011/12년도에는 가격이 하향안정세를 보일 가능성도 예상됨.
2010/11년도 가격급등의 배경으로는 세계적인 재고감축, 한정된 공급량, 견조한 수요, 그리고 달러가치 하락 등을 들 수 있음. 2010/11년도 세계의 면화생산량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2,500만톤으로 추정되어, Mill 소비량과 거의 균형을 이룰 것으로 전망됨. 세계의 Mill 소비량은 세계경기의 개선에 힘입어 2009/10년 회복기조로 돌아섬.
그러나 고수준의 면화가격과 재고부족으로 Mill 소비의 상승이 억제되어, 2010/11년도는 전년도부터 거의 답보상태인 2,500만톤 수준으로 전망됨. Mill 소비가 8% 상승하여 460만톤으로 예상되고 있는 인도를 제외하면 주요 수요국의 Mill 소비량은 zero 성장이 예상되고 있음.
면화를 둘러싼 환경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음. ICAC 가격 모델로는 예측이 쉽지 않지만 이 전망에서는 ICAC가격 모델에 의한 試算이 아닌 2010/11년도 상반기의 평균가격과 하반기, 그리고 최근 2011년 1월 평균가격의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산출된 것임.
[img:3431.gif,align=,width=367,height=235,vspace=0,hspace=0,border=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