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섬유상장기업, 10년도 상반기(1~6월)실적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10-11-30 10:40 조회1,634회관련링크
본문
화섬정보 11.30
○ 세계적으로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섬유산업도 안정된
성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10년 상반기 중국의 공업총생산액은 2조1,17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5.5% 증가했으며, 섬유어패럴수출총액은 888억7,800만불로 전년동기
대비 22.0% 증가함.
○ 주력분야인 화섬/염색, 방직, 어패럴/부자재관련 상장기업(홍콩상장 포함)
의 ’10년도 상반기 실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화섬업계는 경기회복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증가하고, 판매가격이 상승하여
거의 모든 상장기업이 두 자리 수 이상의 증수증익을 기록함. 그러나 원료가격
의 상승 등의 이유로 업종간 수익상황은 차이를 보임.
○ ‘10년 들어 Rayon 섬유의 원료면어패럴의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이에
따라 Rayon 섬유의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감.
- Rayon 상장기업 7개사(山東海龍, 吉林化纖, 南京化纖, 新鄕化纖, 澳洋科技,
湖北金環, 保定天鵝)는 모두 두 자리 수 이상의 증수를 기록했으나, 원료가격
의 상승이 Rayon 섬유의 판매가격을 상회하여 新鄕化纖과 澳洋科技를 제외
한 5개사의 순이익은 마이너스를 보임.
○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가격은 강세를 보여 주요기업인 友利스판덱스, 烟台
스판덱스, 華峰스판덱스의 매출액과 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생산확대
를 위한 투자도 줄을 이음.
- 華峰스판덱스는 1億8,000万元을 투자하여 연산 1万5,000톤 규모의 차별화
폴리우레탄 섬유의 생산계획을 발표함.
- 烟台스판덱스는 연산 7,000톤 규모의 차별화 폴리우레탄 탄성섬유 공장의
신설 계획을 발표함.
○ ‘09년초 염색업계도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중반부터 회복을 보이기
시작하여 상장기업 모두가 증수증익을 기록함. 그러나 염료와 석탄 등의 원
재료와 연료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어 염색업계의 경영코스트는 여전히
높은 상태임.
- 업계의 구조조정도 추진되고 있으며, 환경문제도 더욱 심각화되고 있음. 航民
股份은 노후화된 생산설비의 도태와 에너지절약기술을 개발하는 등 기업의
수익력을 높여 염색업계에서 수위의 지위를 유지함.
○ 면방직관련 상장기업의 대부분은 증수증익을 기록함. 魯泰紡織은 저렴한 시기
에 비축해 놓은 면화재고가 원재료의 대폭적인 가격 상승에 대응하여 연결조
이익률을 작년 28.2%에서 33.8%로 끌어 올림.
- 타올을 비롯한 홈텍스타일의 孚日股份은 주요사업 이외에 화학공업 등의 분
야에도 진출하여 사업내용이 다각화됨. 상반기 섬유사업의 조이익률은
18.7%이었음.
○ Wool 방직 5개사 가운데 3개사는 증수증익을 기록함. Wool 대기업인 江蘇
陽光은 다결정 실리콘사업의 침체가 영업이익과 순이익에 영향을 미쳐 증수
감익을 보임.
- 山東如意는 매출액과 순이익이 두 자리수 증가함. 연이어 300番手, 400番
手, 500番手를 중심으로 한「如意紡」이라는 방적기술개발과 생지개발에 주
력함.
- 프리미에르 비죵에도 출전하여 오리지널기술과 소재를 피로하여 Wool 생지
업계에서의 지위를 더욱 확도히 한 캐시미어 대기업인 中銀絨業은 주 업무에
전념하고, 작년 10월에 매수한 영국의 섬유기업 토드앤다칸의 매출도 계상하
여 증수증익을 기록했으며, 조이익률도 3.9포인트 상승한 233.9%를 기록
함.
○ 국내 판매의 호조와 수출회복이 어패럴업계에는 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음.
중국 내수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七匹狼과 報喜鳥, 利郞 등 남성어패럴 대기업
3사는 자사 브랜드를 강화하여 업적이 호조로 추이하고 있음. 영캐주얼 대기
업인 美特斯邦威는 신규 브랜드「ME&CITY」의 판매가 여전히 부진을 보임에
따라 영업이익도 순이익도 큰 폭으로 감소함.
- 어패럴 최대기업인 Young集團은 주식투자 등으로 벌어들인 영업외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하여 감수감익을 보임.
- 캐시미어 대기업인 올도스는 전력과 冶金事業의 업적이 호조를 보여 증수증
익을 확보 했으나, 캐시미어사업의 매출과 이익은 대폭 감소함.
- 紅豆股份도 부동산 사업의 수입으로 매출액이 배로 증가했으나, 어패럴 사업
의 매출액은 6.8% 증가한 2億4,518万元에 그침.
○ 어패럴업계의 호조영향으로 Fastener와 안감 등의 부자재 관련기업도 큰 폭
의 증수증익을 기록함.
[img:3233_1.gif,align=,width=500,height=564,vspace=0,hspace=0,border=0]
[img:3233_2.gif,align=,width=500,height=503,vspace=0,hspace=0,border=0]
[img:3233_3.gif,align=,width=529,height=640,vspace=0,hspace=0,border=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