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화섬정보 > 화섬정보

화섬정보

중국 폴리에스터 단섬유 업계가 직면한 기회와 도전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화학섬유협회 작성일20-10-26 18:17 조회1,213회

본문

화섬정보 10.26

 

지난 22일 CCFEI가 온라인으로 개최한 제17회 중국 국제 폴리에스터 포럼에서 Jiangsu Huahong Industrial Group의 Hu Xinmin이 중국 폴리에스터 단섬유 업계가 직면한 기회와 도전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1. 폴리에스터 단섬유 업계 현황

 

폴리에스터 단섬유 생산능력은 2002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년 기준 약 800만톤에 달함. `03년 중국 섬유 기업들이 빠른 속도로 사업을 확대하면서 중국의 PSF 생산능력이 연간 220만톤에서 500만톤으로 급증함. `10년에는 생산능력이 연간 650만톤으로 확대되면서 과잉공급으로 이어져 업계 개편이 이루어짐.`17년에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수입금지로 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산업에 영향을 주었고, 버진 폴리에스터 단섬유 생산능력이 연간 760만톤으로 증가함

 

`19년 중국의 폴리에스터 단섬유 지역별 생산능력 분포를 살펴보면, 장쑤성이 55%, 푸젠성이 18%, 저장성이 11%, 상하이가 5%, 허난성, 안후이성, 산둥성이 각각 3%, 쓰촨성과 충칭이 2%를 차지함. 동 기간 폴리에스터 단섬유 지역별 수요를 살펴보면, 푸젠성이 28.1%, 장쑤성이 17%, 산둥성이 10.9%, 허베이가 9.9%, 저장성과 허난성 젠시가 각각 9.6%, 허베이가 8.4%, 허난성이 2.5%, 산시성이 1.2%, 후난성이 1%, 기타가 1.7%를 차지함

 

중국 폴리에스터 단섬유 시장은 중국 폴리에스터 시장에서 비중이 적은 편임. `19년 기준 중국의 폴리에스터 품목별 생산능력 비중은 폴리에스터 장섬유가 61%, BGPET가 16%, FGPET가 12%, 폴리에스터 단섬유가 11%를 차지함. 폴리에스터 단섬유 품목별 시장은 Semi-dull이 63%, Super bright가 12%, Spun-laced Nonwoven이 9%, Hollow와 Low-melt-point가 각각 8%를 점하고 있음

 

2. 폴리에스터 체인의 수직계열화 확대에 따른 변화

 

최근 중국 섬유산업의 성장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음. `16~20년 7월 기간동안 일정규모 이상인 섬유패션 리테일업체들의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20년 1~7월 기준 59억5,900만톤에 불과함. 한편, `16년~`19년 기간 동안 중국의 섬유패션 수출액이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20년 1~7월 기간 동 매출액은 15억6,480만불임

 

최근 중국 내 폴리에스터 체인의 수직계열화가 확대되고 업스트림의 대규모 증설로 인해 되면서 폴리에스터 단섬유 시장은 영향을 받고 있음. 수직계열화를 이룬 생산기업들은 규모가 커지면서 외부상황에 따른 영향을 덜 받게 됙고, 보다 많은 재정적인 자원을 보유하게 되며, 자본비용이 낮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음

 

<`20년 중국 폴리에스터 단섬유 주요기업의 생산능력>

   (단위 : 천톤/년)

기업명

생산능력

Hengyi

1,200

Yizheng

1,000

Sanfangxiang

800

Huahong

550

Jinlun

500

Huaxi

450

 

<`20-`22년 중국 폴리에스터 단섬유 주요기업의 추가 생산능력 확대 계획>

(단위 : 천톤/년)

기업명

생산능력

위치

가동시기

Hengyi

1,100

장수성 쑤첸

2021년

Zhongyou Chemical Fiber

2,000

저장시 퉁샹

2021-2022년

Grerial

350

후베이성 황강

2021년

Zhejiang Jixing

300

저장성

2022년

Zhongtai Bazhou

250

허베이성 바저우

2021년

Huaxicun

100

장쑤성 장인

2021년

  

3. 폴리에스터 단섬유 업계의 도전과 기회

 

수직계열화가 어려운 폴리에스터 단섬유 생산업체들은 브랜드 효과와 차별화 및 기능성 제품 확대, 환경 등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함. 중국 폴리에스터 단섬유 브랜드 간의 가격 차이가 크지 않아 기업들은 브랜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품질, 가격차별화, 고가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함

 

또한, 중국 내 차별화 제품에 대한 기술적 장벽이 높지 않은 상황이므로 업체들은 Bright, Whited, Spun-laced, Vortex-spinning, CDP를 비롯한 제품 차별화에 중점을 두고, Cotton-like, Low-melt-point, Anti-pilling, Antibiosis, Flame-retarding과 같은 기능성 제품 생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함. 이는 기능성 섬유에 대한 시장의 생산능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기 때문임. 최근 친환경 제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친환경 이미지를 위해 생산과정에서 안티모니(Antimony)를 포함시키지 않고, Dope-dyed 방식을 도입하는 것도 소개함

 

한편, 폴리에스터 단섬유가 올해 중국 선물시장에서 거래될 경우, 금융기능이 발휘될 것으로 예상됨. 이전에 폴리에스터 단섬유 생산업체들은 제품가격이 하락하면 재고를 비축하는 경향이 있었음. 반대로 폴리에스터 단섬유 가격이 높아지면 다운스트림들이 구매를 유보하기 때문에 폴리에스터 단섬유 생산업체들은 제품 가격이 내려가기 전까지 취할 수 있는 액션이 거의 없었고, 생산량을 줄이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이었음. 그러나 폴리에스터 단섬유가 선물 시장에서 거래될 경우, 폴리에스터 가격이 높아져 다운스트림 업계 바이어들의 구매의욕이 줄어들면 폴리에스터 단섬유 생산업체들은 가격 헷징을 위해 폴리에스터 단섬유 선물을 판매할 수 있게 됨. 이에 따라 폴리에스터 단섬유 거래에 있어서 상당한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S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ENGLISH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30 적선현대빌딩 9층 (03170) Tel. 02-734-1191~4 Fax. 02-738-0111
Copyrightⓒ KOREA CHEMICAL FIBERS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